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 31 |
Tags
- 피그마인디언
- Gaimification
- 신경쓰기의 기술
- MS SQL Server
- 웨어하우스 보관 최적화
- 코딩테스트
- ProfileReport
- TensorFlowGPU
- 코딩테스트연습
- 딥러닝
- ABC Analysis
- SKU Consolidation
- 프로그래머스
- Inventory Optimization
- MySQL
- kaggle
- SQL
- tensorflow
- HackerRank
- oracle
- ModelCheckPoint
- 파이썬
- eda
- Labor Management System
- Product Demand
- leetcode
- 데이터분석
- 당신의 인생이 왜 힘들지 않아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
- pandas profiling
- forecast
Archives
- Today
- Total
목록Inventory Optimization (1)
오늘도 배운다

최근 회사로부터 임무를 받았습니다. Distribution Centres (이하 DC) 내 분산된 제품을 어떻게 효율적으로 모을 수 있을까?에 대한 답을 찾는 것이었습니다. 궁극적으로 제품 이동에 대한 로직과 그에 따른 작업지시서를 만드는 것입니다. 이에 대한 고민 일부를 글로 남기게 되었습니다. 개요 SKU Consolidation의 정의와 DC에서 필요한 이유? DC내 제품 분산도를 어떻게 측정/모니터링 할 것인가? SKU Consolidation의 정의와 DC에서 필요한 이유? SKU(Stock Keeping Unit)는 DC내 각 제품의 고유값이다. 스포츠 브랜드 Z의 신발을 예로 들어보자. 해당 브랜드의 모델 A에 5개의 색상, 10개의 사이즈가 있다고 가정하자. 그렇다면, 모델 A의 제품군에는..
생각/글또
2024. 1. 21. 15:31